top of page

여기서 긋는 이야기

​                -해방촌의 사계절-

        2015.1.26(Man)-2015.2.4(Wed)

                     관람시간 11:00-20:00

​                Gallery Far Beyond

[삶의 무대를 바라볼 수 있는 장소 해방촌]

 

해방촌은 서울시 용산구 용산2가동과 용산1가동의 일부가 포함되는 지역이다. 용산고등학교의 동쪽, 서울타워의 남쪽, 곧 남산

밑의 언덕에 형성된 마을이다. 마을 아래로는 남산 2, 3호 터널이 지나간다.

 

2014년 4월 즈음, 학교 후배의 말을 듣고 이곳을 처음 방문해 보게 되었다. 후배는 그림을 그리는 작가이자 연극을 하는 극단에도

소속되어 있었는데, 극단 활동을 하는 장소가 다름 아닌 해방촌 이었기에 그 곳의 경관을 내게 소개해 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는

녹사평 역에서 이어지는 큰 도로를 기준으로 장독대가 잔뜩 쌓여있는 포인트가 해방촌의 입구라고 이야기 해 주었다. 그래서 그

장독대들을 찾아 두리번거렸던 기억이 아직 생생하다.

 

내가 한국에 온지도 이제 3년3개월이 지나간다. 한국에 오기 전에 마음 속에 그려보았던 한국의 정취를 해방촌이 품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가파른 언덕에 늘어서 있는 작은 집들, 즉  달동네의 모습이다. 드라마틱한 경사에 서 있는 집들, 그리고 그곳에서 가깝게 살며 서로 정을 나누는 사람들이 바라보는 풍경을 배경으로 삶의 드라마가 펼쳐지는 모습에 나는 큰 매력을 느꼈다. 나는 텔레비전 속 드라마에는 별다른  흥미가 없어도, 우리가 사는 현실에서 우리가 직접 만들어가는 이야기에는 매우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드라마란 우리가 하루하루를 살면서 만들고 있는 것이기때문이다.

 

해방촌을 찾아가기 전에도 신도림이나 아현동에 있는 달동네 몇 군데를 찾아가 본 적이 있다. 각 장소마다 특유의 매력이 있었다.

하지만 유독 해방촌에서 다른 곳에서 찾을 수 없는 운치를 느끼게 되어 이곳을 소재로한 작업을 시작했다.  동네 입구에 ‘민가와 예술이 어울리는 동네 해방촌’이라고 쓰여진 현판이 인상적이다. 나는 여기에서 벌어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온 풍경을 그리고자 했다.

삶 속에서 지나쳐 버리는 수 많은이야기와 감정들이 어떤 장소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순간 그곳은 삶을 기억 해주는 귀중한 장소가 된다. 그 하나의 장소는 어떤 이에게는 하나의 점일 뿐이지만 누군가 에게는 삶의 이야기를 잔뜩 담고 있는 귀중한 곳이다. 그래서 나는

둘도 없는 그 점들을 다시 이어서 선을 긋고 삶의 이야기를 남기려고 한다. 처음에 이곳을 찾아 왔을 때 보았던 장독대들은 지금도 같은 모습으로 그 장소에 서 있다. 과거가 있으면 미래도 있다. 이 동네가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지 기대하면서  장독대가 계속 그곳에에 있기를 바란다.

                                                                                                                                                                           -2015.1.21 작가노트중-

[Haebangchon, a place where you can see the stage of life] Haebangchon is an area that includes parts of Yongsan 2-ga-dong and Yongsan 1-ga-dong, Yongsan-gu, Seoul. East of Yongsan High School, south of Seoul Tower, Namsan It is a village formed on the hill below. Namsan 2 and 3 tunnels pass under the village.

Around April 2014, I visited this place for the first time after hearing a junior at school. The junior is an artist who paints and plays I was affiliated with it, but because the place where the theater company was active was none other than Haebangchon, I was able to introduce the scenery there to me. he is He told me that the point where Jangdokdae is piled up based on the large road leading from Noksapyeong Station is the entrance to Haebang Village. So that The memory of searching for Jangdokdae is still vivid.

Three years and three months have passed since I came to Korea. Before coming to Korea, Haebangchon had the atmosphere of Korea that he had drawn in his mind. It is the appearance of small houses lined up on a steep hill, that is, a village. I felt great charm as the drama of life unfolds in the background of the houses standing on a dramatic slope and the scenery seen by people who live close and share affection there. Even though I don't have much interest in dramas on TV, I am very interested in the stories we create ourselves in the reality we live in. Because drama is something we live and make every day.

 

Even before I visited Haebangchon, I had visited several places in Daldongne in Sindorim or Ahyeon-dong. Each place had its own charm. However, in Haebangchon, I felt a taste that could not be found anywhere else, so I started working on this place. At the entrance of the neighborhood, a signboard that reads “Haebang Village, a neighborhood where private houses and art harmonize” is impressive. I wanted to draw a landscape that contained the stories of people taking place here. The moment when countless stories and emotions that are passed away in life can relate to a certain place, it becomes a valuable place to remember life. That one place is just a point for some, but for some it is a valuable place that contains a lot of life stories. so I I try to draw a line by continuing the irreplaceable dots and leave a story of life. The Jangdokdae, which I saw when I first came here, are still standing there in the same form. If there is a past, there is a future. I hope that Jangdokdae will continue to be there, looking forward to how this neighborhood will change in the future.                                                                                                        

                                                                                                                                                                     -2015.1.21 -Note-

앞면-완성 복사.jpg
안면 A3 WIX.jpg
sample-1 7복사.jpg
향수막 완성-Gallery far beyond.jpg
뒤면-완성 복사.jpg

​Exhibition photo

​Works process

Work process-HBC
Work process-HBC
Work process-HBC
Work process-HBC
Work process-해방촌
Work process-해방촌
Work process-해방촌
Work process
Work process
Work process
Work process
Work process
Work process
Work process
Work process-HBC
Work process-HBC
Work process-HBC
Work process-HBC
Work process-HBC

​Photo

경리단길

경리단길

Haebangchon

Haebangchon

해방촌 동내

해방촌 동내

Haebangchon

Haebangchon

지붕 위에서

지붕 위에서

해방촌 해질녘

해방촌 해질녘

Haebangchon

Haebangchon

해방촌에서

해방촌에서

방독막

방독막

하얏트 호텔

하얏트 호텔

Haebangchon

Haebangchon

언덕에서 보이��는 보성여고

언덕에서 보이는 보성여고

Haebangchon

Haebangchon

해질녘

해질녘

해질녘

해질녘

제작과정

제작과정

오르막길

오르막길

하늘

하늘

경리단길을 내려다보면서

경리단길을 내려다보면서

경리단

경리단

고양이 안녕

고양이 안녕

어떤 날

어떤 날

몰리 보이는

몰리 보이는

제작 장소를 찾아서

제작 장소를 찾아서

경리단길

경리단길

Haebangchon

Haebangchon

해방교회

해방교회

해방교회

해방교회

경리단길을 내려다 보면서

경리단길을 내려다 보면서

해방교회

해방교회

Haebangchon

Haebangchon

그 집이 궁금해

그 집이 궁금해

해방교회

해방교회

낮에

낮에

         Lyrical landscape

                                                         

                                                          2015.9.4-9.30  

                                                   11:00am-18:00pm

                                       K Gallery

한국에서 지낸 4년 동안 한반도의 여러 곳을 찾아 다녔다. 사계절의 모습이 바뀌고 사람의 마음이 밤낮으로 완전히 바뀌듯 어떤

경치가 나의 마음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우리가 찾으려고 하는 길이나 기억, 소망은 어떤 장소와 만날 때 새로운 감정으로

싹트게 된다. 그 격양된 감정으로 인해 어떤 이는 인생행로에 하나의 점을 찍게 될 것이다. 나는 누군가의 소중한 삶의 이야기와

수많은 감정들이 담겨있을 특별한 장소를 하얀 화면 위에 선을 긋고 그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작가노트중-

During my four years in Korea, I visited various places on the Korean Peninsula. As the appearance of the four seasons changes and a person’s mind completely changes day and night, The scenery completely changed my mind. The path, memories, and hopes that we are trying to find become new emotions when meeting a place.

It will sprout. Because of that exhilarating emotion, some will mark a point in the course of life. I’m talking about someone’s precious life It draws a line on a white screen with a special place where a lot of emotions will be contained, and their stories are captured.                                                                                                          -note 2015-

표시 복사-2.jpg
안면 Tif date-2.jpg
뒷표시-2.jpg

​Exhibition photo

​Works process

​Photo

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

자전고 렌털

자전고 렌털

Jeju Island

Jeju Island

우도 등대에서

우도 등대에서

Jeju Island

Jeju Island

제주의 심볼

제주의 심볼

주상철리

주상철리

배 안에서

배 안에서

멀리 보이는

멀리 보이는

범섬

범섬

Jeju Island

Jeju Island

우도에서

우도에서

우도 정상으로

우도 정상으로

멀리 보이는 우도

멀리 보이는 우도

새

한남동

한남동

우도로 가는 새

우도로 가는 새

새들이

새들이

낚시는 정반

낚시는 정반

Jeju Island

Jeju Island

보트

보트

성산일출봉 롯테리아

성산일출봉 롯테리아

스케치를 마치고

스케치를 마치고

Jeju Island

Jeju Island

제주도 무늬

제주도 무늬

어부

어부

머하시나

머하시나

배가

배가

집 안에서

집 안에서

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

동백꽃?

동백꽃?

한강

한강

한남동

한남동

한남동

한남동

한강을 바라보고

한강을 바라보고

한남동

한남동

한남동

한남동

올라가자

올라가자

뷰가 좋네

뷰가 좋네

내려갈까

내려갈까

낡은 벽도

낡은 벽도

한남동

한남동

Group exhibition

KakaoTalk_Photo_2021-02-17-20-47-10.jpeg

            Refresh Angel

                                        Gallery Aile

                                 강은혜. 겐마 히사타카. 고은해. 임우현. 장수익

                                                      2015.7.18-7.30

                                         opening 7.18sat 14:00

common.jpg

                월간 미술게계 31주년 특별전

              천하제일미술대전

​    제13회신진작가 발언전

                                        2015.5.27-6.1

                            ​MISUL SEGYE

스크린샷 2021-02-17 오후 9.13.59-2.png
신진작가전 : 2015 Portfolio for Future

2014.12.19 ⎯ 2015.2.22


김병진, 김승민, 김유나, 김현수, 윤여선, 이민영, 정진아, 지혜진, 진철규, 호상근, 황효덕, Gemma Hisataka

 

관람시간 : 월요일 - 금요일 10:30am - 6:30pm ㅣ 주말, 공휴일 10:30am - 7:30pm

오프닝 리셉션
일시 : 2014년 12월 19일 금요일, 오후 5시
장소 :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 20170517170410
Unknown Track - Unknown Artist
00:0000:00

2021

 

bottom of page